경제 지표, ETF
왜 암호화폐에 투자 해야 하는가에 대한 현재 고민은 경제 지표와 비트코인 ETF 승인으로 이야기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최근 연준에서 금리를 동결하고, CPI 지수는 예상치 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습니다.
올초와는 다르게 이젠 5월 까지는 금리 동결에 대한 의견이 더 많고, 6월 부터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있습니다.
결과 적으로 올초 예상되었던 금리 인하시기는 늦어 졌으며, 금리 인하에 대한 수치는 상대적으로 오른 결과를 나타내었습니다.
이러한 금리 전망치가 상승 하면서, 현재 채권 수익률이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시중 금리를 대변 하는 채권 수익률 증가에 추세에 따라 투자 상품에는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다만, 올 한해 금리 인하 폭은 적지만, S&P 지수 상승 및 비트코인 ETF 승인, 금리 수치 인하 등은 경기 위험성에 대해 비교적 낙관적인 전망에 골디락스의 형태로 흘러 갈것이라 생각합니다.
금 ETF의 자금 유출 과 비트코인 ETF 승인
대체 통용 화폐로써 달러를 위협 해오던 금에 대한 ETF의 자금 유출이 비트코인 ETF 출시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에 반면 비트코인 ETF에 대한 자금 흐름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격 비트코인의 가격은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가격 변동성 자체도 낮은 상황으로 보여 집니다.
이러한 뜻은 앞으로 추가적으로 유입 될 비트코인에 대한 자금 유입은 막대할 것으로 예상되어 집니다.
하지만, 2100만 개의 발행에 대한 희소성이 있으며,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는 비트코인 개수는 고작 200만개 수준입니다.
이러한 이야기는 앞으로 가져올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 대해 긍정적인 시그널이라고 생각 하고 있습니다.
금과 비트코인의 차별에 대해서는 비트코인이 금보다 정확한 수치에 대한 제한이 있기 때문에 희소성이 있으며, 현재 비트코인을 넘어서는 가상화폐는 존재하지 않지만, 금의 경우 금보다 더 희소성이 있는 보석류의 대체 통용 화폐가 존재 하기 때문에 ETF를 통한 비트코인 자금 유입 및 가격 상승의 폭은 과거 금의 역사를 훌쩍 넘는 결과를 나타낼 것이며, 보다 빠르게 진행 될 것이라 예상 합니다.
비트코인 반감기
이러한 상황속에서 비트코인은 4월 반감기가 예정 되어 있으며, 비트코인 공급량은 전 보다 훨씬 줄어들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반감기는 가상화폐의 가격 상승은 이전 반감기의 상승률을 초월 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다만, 비트코인의 경우 반감기 전 -20~30% 하락에 대한 리스크가 지속적으로 존재 해왔습니다.
이러한 리스크는 그레이스케일의 매도 물량 등 올초 부터 지속적으로 진행 되어 왔으며, 악재 속에서도 ETF 승인으로 기관들의 매수세가 지속되어 비트코인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 졌습니다.
최근엔 이더리움 가격 상승이 시작 되면서, 알트코인의 가격 상승 또한 예상되어 집니다.
끝으로, 가상화폐에 왜 투자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의 답은 금 가격의 역사적 상승을 생각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경제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MC와 연준 의장 파월 (3) | 2024.03.22 |
---|---|
미국 고용 보고서 금리인하 가능성? 비트코인 조정은? (0) | 2024.03.10 |